TIL 18

데이터를 처리하는 chunk, buffer, stream

next.js를 공부하다가 chunk buffer stream에 대해 나와서 의미를 작성해두려고 함. Chunk (청크)데이터의 조각대용량 파일을 작은 청크로 나누어 메모리에 로드하거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청크로 받아 처리할 때 사용됨Buffer (버퍼)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됨Stream (스트림)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을 나타냄입력 스트림은 데이터를 읽어오는 데 사용되고, 출력 스트림은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 그래서 셋의 관계??chunk는 데이터 조각,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데이터buffer는 chunk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 일정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stream은 buffer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

TIL 2024.05.07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이란?

😳 검색 엔진 최적화 SEO? 검색 엔진 최적화 SEO,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도록 하게 하는 작업이라고 알고 있다. 거의 물에 발만 닿은 수준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발이라도 담가보려... 한다. 정말 간단히... 🙄 SEO란? 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서(SERP) 상위에 나타나도록 최적화하는 과정, 이를 통해 더 많은 유기적인 트래픽을 유도하고, 온라인 비즈니스나 정보 제공 웹사이트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그러면 프론트엔드 입장에서 SEO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웹 페이지의 디자인, 구조, 사용자 경험 및 성능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모든게 검색 엔진 최적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

TIL 2023.08.24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 웹 표준? 🤔 웹 접근성? 🤔 웹 호환성?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웹 호환성 이 세 가지가 웹 개발의 핵심 원칙이라 한다. 그러면 이 세 가지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하겠지만, 내 머리에 다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내 머릿속에 간단히라도 담기 위해서 글 작성을 해본다. 😳 웹 표준 (Web Standards)이란? 👉 언어와 기술의 일관성을 위한 웹 표준 👉 웹 표준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의 언어와 기술을 표준화하는 규칙과 지침의 집합이다. 👉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 한마디로! 웹에서 지켜야 하는 표준적인 규칙 🤔 왜 웹 표준을 준수해야 하는 걸까? 👉 크로스 브라우징 호환성 사용자들이 어떤 브라우..

TIL 2023.08.19

Promise

😳 Promise란? ES6에서 도입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객체 콜백 지옥(callback hell)의 코드 복잡성을 해결하고,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었다. 🌀 Promise는 세 가지 상태를 가진다. 👉 Pending(대기 중) : 비동기 작업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 👉 Fulfilled(이행됨) : 비동기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상태 👉 Rejected(거부됨) : 비동기 작업이 실패한 상태 🌀 Promise 객체의 기본적인 메서드 👉 then : Promise가 성공적으로 이행되면 호출되는 메서드 👉 catch : Promise가 거부되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 오류 처리를 위해 사용 👉 finally : Promise가 이행되거나 거부되었을 때 무조건 호출되는 메서드 🌀 P..

TIL 2023.08.07

Callback 함수

😳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 콜백함수란 ? 다른 함수의 인자로 넘겨지고, 해당 함수의 실행이 끝나면 호출되는 함수를 말한다. 👂 콜백함수는 언제 사용할까? 👉 비동기 작업이 완료된 후에 그 결과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setTimeout, setInterval 등의 타이머 함수에 사용되어 특정 시간이 지난 후 실행할 작업을 정의할 수 있다. 👉 이벤트 핸들러에서 사용되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실행할 작업을 정의할 수 있다. ↘ ↗한마디로 말하자면 특정 작업의 실행 순서를 지정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말입니다. 👀 아래 예시를 통해서 콜백함수를 더 알아보자. firstFunc의 콜백함수로 secondFunc을 정의했을때, firstFunc은 비동기 작업(setTim..

TIL 2023.08.06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 동기??? 비동기?? 👆 먼저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 동기(Synchronous) 동기는 데이터의 요청과 결과가 한 자리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동기적인 작업은 순서대로 진행하면서 이전 작업이 완료된 후에야 다음 작업이 실행되기 때문에 , 이전 작업이 완료될때까지 무한대기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작업이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코드의 흐름과 순서를 예측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비동기(Asynchronous) 비동기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동기적인 작업은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이 실행된다. 작업이 완료되면 결과를 반환하거나 콜백 함수를 호출하여 결과를 처리한다.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

TIL 2023.08.03

AJAX란 무엇인가?

💭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AJAX는 JavaScript를 통해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 주고받는 기술입니다. AJAX는 XML, JSON, HTML 등의 형식으로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서버랑 비동기적으로 통신?? 👉 서버 서버는 유저가 데이터를 요구하면 데이터를 보내주는 프로그램 원하는 데이터 URL로 get요청을 하면 서버가 데이터를 보내줌 👉 비동기적 통신 비동기적이라는 의미는 요청과 응답이 서버로부터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AJAX는 XMLHttpRequest 객체나 Fetch API를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하는데, 사용자의 동작에 상관없이 웹 페이지의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

TIL 2023.07.31

SSR(Server Side Rendering)과 CSR(Client Side Rendering)

CSR(Client-side Rendering) CSR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렌더링 방식 중 하나입니다. CSR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서버에 초기 HTML을 요청하면 서버는 빈 HTML을 주고, 그다음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와 같은 언어를 사용해서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렌더링 해줍니다. CSR의 장점 사용자 경험 향상 : CSR은 웹 페이지를 로드한 이후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서버에 요청하고 렌더링 하기 때문에 페이지 업데이트가 빠르고 반응성이 높습니다. 서버 부하 감소 : 브라우저에서 렌더링 작업을 처리하므로 서버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분리 쉬움 : 서버는 API역할을 수행하거나 ..

TIL 2023.07.0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