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 build에 대해 적어놓기 위한 글
😳 왠 build?
👉 용량이 크다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보안상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한다.
👉 build 하나로 용량이 차이가 얼마나 나는가?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탭을 열어서 새로 고침을 누르고 맨 아래쪽을 보면
6.6MB resources라고 나오는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용량이 6.6MB나 된다.

👉 이부분은 package.json에 "scripts" 쪽에서 유지보수 할 수 있는데
"build"라는 명령어는 실제로 배포할때 배포판을 만들어주는 명령어이고, "start"는 배포판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build를 사용하면 최적화 해주기 때문에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함.
👉 일단 해본다.
npm run build 로 빌드를 해보면 배포판이 아래 .next 폴더에 만들어 진다.

그 후에 배포판을 실행하기 위해서 npm run start를 한 후에
개발자도구에서 전송 용량을 보면 301kB로 확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Vercel로 배포하면 vercel이 알아서 next.js를 감지하고 next build를 실행한다고 한다.
아무래도 vercel이 만든거라서 너무 크거나 하지 않으면 vercel로 배포하는것이 괜찮을 듯 하다.
참고
https://opentutorials.org/course/5098
https://velog.io/@wolverine/%EB%B2%88%EC%97%AD-Next.js-%EB%B0%B0%ED%8F%AC-of0hthab
'Ne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기반 라우팅 (Feat. Page Router) (0) | 2024.05.17 |
---|---|
Next.JS의 보호된 파일명 (0) | 2024.05.03 |
server component와 client component (0) | 2023.06.28 |
NEXT의 pages (0) | 2023.06.28 |
NEXT.JS 설치 (0) | 2023.06.28 |